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52)
[자료구조]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은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추상화하여 단계적 절차를 논리적으로 기술해 놓은 것이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명확히 정의된 유한 개의 규칙과 절차의 모임이다. ​ 입력(Input): 알고리즘 수행에 필요한 자료가 외부에서 입력으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출력(Output): 알고리즘 수행 후 하나 이상의 결과를 출력해야 한다. 명확성(Definiteness): 수행할 작업의 내용과 순서를 나타내는 명령어들은 명확하게 명세되어야 한다. 유한성(Finiteness): 알고리즘은 수행 뒤에 반드시 종료되어야 한다. 효과성(Effectiveness): 알고리즘의 모든 명령어들은 기본적이며 실행이 가능해야 한다. ​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있다. - 자연어를 이..
[자료구조] 자료(논리/포인터/문자열)의 표현 방법 1. 논리 논리 자료는 논리값을 표현하기 위한 자료 형식이다. 논리값은 참(True)과 거짓(False), 1과 0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컴퓨터 내부에서는 보통 1byte로 표현한다. (C언어에서 논리 표현 자료형은 'bool' 자료형을 사용하며, 0이 아닌 값은 True, 0을 False로 처리한다.) 구 분 1 2 3 참 최하위 비트 1 표시 0000 0001 전체 비트 1 표시 1111 1111 하나 이상의 비트 1 표시 0000 0100 등 거짓 전체 비트 0 표시 0000 0000 전체 비트 0 표시 0000 0000 전체 비트 0 표시 0000 0000 2. 포인터 포인터는 메모리의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 형식이다.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변수의 주소나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대한 주소를 저..
[자료구조] 자료(문자)의 표현 방법 컴퓨터 내부에서는 문자 자료도 1과 0의 2진수 조합으로 표현한다. 이때 문자에 대한 이진수 코드를 정의하여 사용하며, BCD 코드, EBCDIC 코드, ASCII 코드, 유니코드가 있다. ​ 1. BCD(Binary Coded Decimal) 코드 - 6bit 사용 - 상위 2bit는 존 비트, 하위 4bit는 2진수 비트이다. 존 비트 (상위 2bit) 00 숫자 0(1010), 1~9(0001~1001) 10개 01 문자 A~I(0001~1001) 9개 10 문자 J~R(0001~1001) 9개 11 문자 S~Z(0010~1001) 8개 2. EBCDIC(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코드 - 8bit 사용 - 상위 4bit는 존 비트, 하위 4bit는..
[자료구조] 자료(실수)의 표현 방법 컴퓨터는 2진수만으로 실수를 표현해야 하므로 정수부와 실수부 위치를 정의하는데, 소수점 위치가 항상 같은 자리로 고정되는 고정 소수점 표현방식과 소수점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변하는 부동 소수점 표현방식으로 표현한다. ​ ① 고정 소수점 표현방식 - 소수점이 항상 최상위 비트의 왼쪽 밖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취급하는 방법으로 '00010101'은 '0.00010101' 실숫값을 위미한다. ​ ② 부동 소수점 표현방식 - 고정 소수점 형식에 비해 표현 가능한 값의 범위가 넓으며 과학적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부호, 지수, 가수 세 영역을 사용하며 부호 비트에는 양수일 경우 0, 음수일 경우 1로 표현한다. - 표현 범위에 따라 단정밀도 부동 소수점 표현(4byte/부호 1bit, 지수부 8bit, 가수부 ..
[자료구조] 자료(정수)의 표현 방법 컴퓨터에서 표현할 수 있는 자료는 수치, 문자, 논리, 포인터, 문자열 자료 등이 있으며, 이들을 표현하기 위해 1과 0(ON과 OFF, 참과 거짓)의 2진수 코드를 사용한다. 이때 한자리에서 나타낼 수 있는 숫자를 1 또는 0으로 표현하는 단위를 비트(bit)라고 한다. ​ 비트(bit)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자료를 표현하는 최소단위를 나타내며, 비트 개수의 승수만큼 자료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bit의 경우, 2의 3승(2×2×2)으로 8가지 표현이 가능하다. 1. 2진수 형태이지만 10진수로 쉽게 해석하기 쉽게 만든 형식으로 존(Zone) 형식과 팩(Pack) 형식이 있다. ① 존(Zone) 형식 - 10진수 한자리를 표현하기 위해 1byte(8bit) 사용한다. 이때 상위 4비트는 존 영역..
[자료구조] 자료구조란? 자료구조는 정보의 홍수로 불리는 방대한 컴퓨터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표현, 저장, 처리할 수 있도록 자료의 특성과 사용 용도에 맞게 분류하고 정리하는 것이다. 즉, 많은 자료를 소유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자료는 특성, 사용방법, 연산, 저장 공간, 소요 시간 등 특징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자료 구조의 형태를 선택해야 한다. ​ 1. 단순 구조: 자료 값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 형태로,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등의 데이터 타입에 해당한다. ​ 2. 선형 구조: 자료 사이의 관계가 1:1로, 순차 리스트, 연결 리스트, 스택, 큐, 덱 등이 있다. 가. 순차 리스트: 자료의 논리적인 순서와 기억장소에 저장되는 물리적 순서가 일치하는 구조 나. 연결 리스트: 물리적인 순서와 관계없..
[부동산] LVT, DTI, DSR 이란? 주택담보대출비율, LVT(Loan to Value Radio)는 주택을 담보로 하여 돈을 빌릴 때 인정하는 비율이다. 즉, 담보하고자 하는 주택에 값을 매기고 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주택의 값에 비례하여 최대 대출이 가능한 한도를 산정하게 된다. ​ 예. LTV 60%, 3억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진행하고자 하면, 1억 8천만(3억×60%) 원을 대출받을 수 있다. 총부채상환비율, DTI(Debt To Income)은 연 소득에서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원금 및 이자)과 신용 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즉, 주택담보대출을 받고자 하는 사람의 연간 소득에서 주택담보대출 액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그리고 다른 대출의 이자 상환액을 비율로 최대 대출 한..
[알고리즘] 점화식(Recurrence Relation) 점화식(Recurrence Relation)은 수열의 일반항을 한 개 이상의 앞선 항들을 이용하여 나타낸 식이다. 즉, 어떤 함수를 표현할 때 자신보다 더 작은 변수에 대한 함수와의 관계나 자신과 똑같은 함수를 이용해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자기 호출을 사용하는 함수(재귀)의 복잡도를 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점화식은 n마다 단계적으로 답을 구함으로써 문제를 푸는 방법이며, 점화 관계(Recurrence Relation)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등차수열, 등비수열, 피보나치수열 등에서 점화식이 사용되고 있다. ​ 병합 정렬을 이용하여 점화식의 수행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데, 먼저 입력의 크기가 n인 배열을 이등분한 다음 두 그룹을 각각 정렬하여 병합한 후 다시 정렬해 준다. 이때 입력의 크기가 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