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어문: 프로그램의 흐름이나 순서를 제어할 때 사용한다.
1. 조건문: 주어진 조건에 의해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결정하며, 조건식은 참 또는 거짓으로 판정할 수 있어야 한다.
- 단순 if 문
if(논리 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 if ~ else 문: 삼항연산자(조건항 ? 항1 : 항2)가 모체이다.
if(논리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else {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
}
- 다중 if 문 (if ~ else if ~ else)
if(논리조건식1) {
조건식1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else if(논리조건식2) {
조건식2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else if(논리조건식3) {
조건식3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else {
모든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
}
- switch ~ case ~ break 문: 다중 if 문의 처리 속도를 보완할 목적으로 다중 if 문을 축약한 형태이다. 식이나 수칙의 결괏값(정수형)을 case에서 찾아 이동한 후에 실행된다.
switch(식 또는 수치) {
case 값1: 실행문장; break;
case 값2: 실행문장; break;
...
case 값n: 실행문장; break;
default: case에 해당 결과값이 존재하지 않을 때 실행하는 문장;
}
2. 반복문: 주어진 조건식 또는 횟수에 의한 문장 제어·동일하거나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문장을 반복할 때 사용한다.
- for 문: 명확한 횟수를 이용하여 반복을 제어할 때 주로 사용한다.
for(초기식; 조건식(최종식); 증감식) {
반복할 문장;
}
for( ; ; ) {
반복할 문장;
}
- while 문: 사용자에 의해 반복을 제어할 때 주로 사용한다.
while(조건식) {
반복할 문장;
}
while(1) {
반복할 문장;
}
- do ~ while 문: 입력값을 제한하고자 하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조건이 거짓이라도 딱 한 번은 수행할 때 사용한다.
do {
반복할 문장;
} while(조건식);
do {
반복할 문장;
} while(1)
3. 기타 제어문
- break 문: 가까운 블록({ })에서 벗어나라는 의미를 가진다.
- continue 문: 이하 생략의 의미를 가진다.
반응형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실습: 두 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큰 수와 작은 수 출력하기 (0) | 2020.12.24 |
---|---|
[C언어] 실습: 양수 또는 음수 판별하기 (0) | 2020.12.20 |
[C언어] 실습: 출장비를 입력받은 후, 화폐 매수(오만 원, 만 원, 오천 원, 천 원, 오백 원, 오십 원, 십 원) 계산하여 출력하기 - 2 (0) | 2020.12.16 |
[C언어] 실습: 출장비를 입력받은 후, 화폐 매수(오만 원, 만 원, 오천 원, 천 원, 오백 원, 오십 원, 십 원) 계산하여 출력하기 - 1 (0) | 2020.12.15 |
[C언어] 실습: 반지름을 입력받아 원의 면적과 둘레 출력하기 (0) | 2020.12.14 |